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포토샵 광도란?

카테고리 없음

by %!@%!#% 2022. 1. 20. 08:30

본문

 

광도 (Luminosity)

 

Component 그룹의 마지막 블렌드 모드이자, 28가지 블렌드 모드의 마지막인 Luminosity입니다.

 

1. Luminosity 블렌드 모드란?

 

Luminosity 블렌드 모드는 이미지의 색조와 채도를 유지한 채로 광도를 수정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Luminosity 블렌드모드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 그림과같은 실험 이미지를 준비했습니다. Layer 2 의 블렌드모드를 Luminosity 로 변경시킨 모습입니다. 청록색인 원본 이미지가 Layer 2 색상의 광도에 영향을 받아 어두운 청록색이 되었습니다. Adobe 에서 말하는 Luminosity 블렌드모드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 색상의 색조와 채도 및 혼합 색상의 광도로 결과 색상을 만듭니다." 여기서 기본 색상이란 위 실험의 Layer 1 에 해당하는 청록색 원, 즉 베이스 이미지를 뜻합니다. 혼합 색상은 위 실험의 Layer 2 에 해당하는 보라색 원인 블렌드 이미지를 뜻하지요. 또한 결과 색상은 위 실험의 두 원이 겹쳐진 부분을 말하는 것입니다. 위의 도식을 보면 Component 그룹의 모든 블렌드모드 특성이 한눈에 파악될 것입니다. 이미지의 색조와 채도를 변화시키는 Color 블렌드 모드와 반대되는 특성을 지닌 것이 Luminosity 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Brightness와 Luminosity

 

이전의 Component 그룹의 블렌드 모드 포스트를 살펴보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Luminosity와 컬러 픽커의 Brightness는 전혀 다른 밝기의 정도입니다. 컬러 픽커의 Brightness 가 R, G, B 중 가장 큰 값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채널의 최대 출력'에 따른 밝기라면, Luminosity는 인간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밝기인 것입니다. 순수한 Red와 Green, Blue는 모두 Brightness 값으로는 최대 밝기인 100 % 를 나타내지만 인간이 느끼는 이들 색상의 밝기는 저마다 다릅니다. 예를 들자면, 같은 출력의 Red, Green, Blue 라도 Green 이 가장 밝아 보이며, Red 가 중간, Blue 가 가장 어두워 보이는 것입니다. 주어진 RGB 값으로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밝기인 Luminsity를 구하려면 위 공식에 RGB 값을 대입해야 합니다 따라서 위 그림처럼 A 인 베이스 이미지 색상에 B 인 블렌드 이미지인 색상을 Luminosity를 합성하고, 합성 결과인 R 이 제대로 적용된 색상인지 확인하려면 R의 RGB 값과 B의 RGB 값을 Luminosity 식에 대입하여 값을 비교해보면 됩니다.

 

3. 활용 예제-1

 

Luminosity 블렌드 모드는 이미지의 밝기, 콘트라스트 조절 시 생길 수 있는 색상의 채도 변화를 막아줍니다. 예를 들어 위 그림처럼 커브(Curves)를 이용하여 이미지의 콘트라스트를 높이고자 할 경우, 콘트라스트뿐만 아니라 색상의 채도 또한 높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커브를 적용시킨 복제 레이어나 조정 레이어(Adjustment Layer)의 블렌드 모드를 Luminosity로 변경하면 채도의 증가를 막을 수 있습니다.

 

4. 활용 예제-2

 

또 다른 활용 예제로는 Luminosity를 이용하여 틴팅(Tinting) 이미지를 쉽게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위 그림처럼 새 레이어를 생성하고, 새 레이어에 그라디언트 툴(Gradient Tool)을 사용하여 레이어를 채웁니다. 그라디언트로 새 레이어가 채워지고 난 후, 원본인 Background 레이어를 복제하여 사본 레이어가 레이어 팔레트의 최상단에 위치하도록 옮깁니다. 최상단에 옮겨진 원본 복제 레이어의 블렌드 모드를 Luminosity로 변경합니다. 그라디언트의 색상이 착색되어 나타나는 효과가 생겨났지요? 틴팅 효과가 과할 경우, 그라디언트가 적용된 레이어의 Opacity를 조절하여 효과를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